내민(來敏)은 자가 경달(敬達)이고 의양군(義陽郡) 신야현(新野縣) 사람이며, 내흡(來歙)의 후예이다.
부친 내염(來豔)은 한나라의 사공(司空: 관직명. 삼공三公의 하나로 국가의 토목건축과 수리공정 등의 일을 관장하였다)이었다.
화교華嶠의 『후한서後漢書』에서 말하길, 내염은 학문을 즐기고 겸허한 태도로 사인士人을 대하여, 저택을 개방하여 모인 사인들을 부양하였다. 젊었을 적부터 고위를 역임하여, 영제靈帝의 시대, 사공의 관위에까지 올랐다.
한(韓)나라 말, 큰 혼란을 만나 내민은 누이를 따라 형주(荊州)로 도망쳤다. 매부 황완(黃琬)은 유장(劉璋)의 할머니의 조카였으므로, 유장은 사람을 보내 황완의 처를 맞이하도록 했다. 내민은 그래서 누이와 함께 촉군(蜀郡)으로 들어갔고, 항상 유장의 빈객(賓客)이 되었다.
내민은 서적을 광범위하게 읽어 좌씨(左氏)의 《춘추(春秋): 좌씨전.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노魯나라 좌구명左丘明이 해석한 책》에 뛰어났으며, 특히 《창힐편(倉 篇)》과 《이아(爾雅): BC 2세기경 주周나라의 주공周公이 지은 것으로 전하는 자서字書》의 훈고(訓誥: 자구字句의 해석. 문장 전체의 의의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고 부분적인 문자나 어구를 설명하는 것임)에 정통하였고, 문자를 교정하는 일을 좋아했다.
유비(劉備)는 익주(益州)를 평정한 후, 내민을 전학교위(典學校尉)로 임명했고, 태자(太子)를 세웠을 때는 가령(家令)으로 임명했다. 유선(劉禪)이 제위에 오른 후, 그를 호분중랑장(虎賁中郞將: 관직명. 광록훈光祿勛에 속하며, 낭관郞官의 수령首領 가운데 하나이다. 호분숙위虎賁宿衛를 통솔하여 황제의 숙위宿衛와 잡역雜役을 담당하였고, 아울러 궁정宮廷의 각 집무기관執務機關 및 관원들의 경호를 맡았다)으로 삼았다. 승상(丞相: 중국의 역대 왕조에서 천자天子를 보필하던 최고관직) 제갈량(諸葛亮)이 한중(漢中)에 주둔했을 때, 내민에게 군좨주(軍祭酒), 보군장군(輔軍將軍)이 될 것을 요청했고, 후에 어떤 사건에 연루되어 관직을 떠나게 되었다.
『제갈량집諸葛亮集』에 게제 되어있는 명령서에서 말하길, 「장군 내민은 상관을 대하여 노골적으로,
"신입에게 어떤 공이나 덕행이 있기에, 저의 영예로운 지위를 거두어 들여 그들에게 내리신 것입니까. 여러 사람들은 일치하여 저를 증오하고 있습니다만, 무슨 연유로 그러한 태도를 취하는 것입니까"
라고 말하였다. 내민은 늙어 상궤를 벗어나, 이러한 원망을 내뱉은 것이다. 옛날, 성도成都가 평정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논자들이 내민은 전체의 통일을 어지럽히는 인물이라고 주장했다. 선제先帝는 평정한지 얼마 되지 시기라고 하시며, 그저 참으셨는데, 예우하시는 일은 없었다. 후에 유자초劉子初(파巴)가 선발하여 태자의 가령으로 삼자, 선제는 심기가 불편한 기색을 보이시면서도, 차마 거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하신 것이다. 주상(유선劉禪)께서 즉위하신 후, 나에게 사람을 보는 눈이 없었기에, 또 다시 발탁하여 장군/좨주에 임명하였으나, 이것은 논자들의 판단을 무시하고, 선제가 배척하신 뜻으로도 이해되어져버렸다. 나 자신은 경박한 풍속을 순박하게 하고, 도의로서 지도해 주리라고 생각한 것이다. 현재 그것을 못하는 이상, 상표上表하여 퇴직시켜, 문을 닫아 그릇됨을 반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갈양이 세상을 떠난 후, 내민은 성도(成都)로 돌아와 대장추(大長秋)로 임명되었지만 또 다시 면직되었고, 후에 여러 차례 승진하여 광록대부(光祿大夫: 관직명. 조정의 고문관顧問官. 진나라 때의 낭중령郎中令의 속관屬官이던 중대부中大夫를 한무제漢武帝때 광록대부光祿大夫라고 고쳐 불렀다. 삼공三公 다음가는 높은 벼슬이었으나 실권은 없고 다만 명예직이다)가 되었으나 재차 잘못을 범하여 쫒겨났다.
내민이 앞뒤로 여러 번 면직되거나 강등된 것은 모두 말에 절도가 없고 행동이 일상적인 규범을 어겼기 때문이다. 그 당시 맹광(孟光) 또한 중대한 일에 있어서 신중한 태도가 없이 시정(時政: 그 때의 정사政事)에 간여하는 의론(議論)을 발표하는데, 내민보다 더 심했다.
그들은 모두 나이가 많고 박학한 학자로 당시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내민은 형초(荊楚)의 명가(名家)이며 태자의 노신(老臣)이었으므로 특별히 우대를 받았다. 이 때문에 그는 면직된 후에 또 기용되었다. 후에 유선은 내민은 집신장군(執愼將軍)으로 임명하여, 관직의 중요함으로써 스스로 경계하도록 하고자 했다. 내민은 경요(景耀) 연간(年間) 97세로 세상을 떠났다.
아들 내충(來忠) 역시 유가경전을 광범위하게 읽었고, 내민의 풍모를 갖추고 있었으며, 상서(尙書: 천자와 조신 사이에 왕래하는 문서를 맡아보던 관직) 상충(尙充) 등과 함께 대장군(大將軍) 강유(姜維)를 보좌했다. 강유는 그를 평가하여 참군(參軍)으로 임명했다.